RESTful
REST(Representational State Transfer)는 웹의 장점을 최대한 활용할 수 있는 아키텍처로, Hypermedia API의 기본을 충실히 지키면서 범용성을 보장한다. 이의 원리를 따르는 시스템을 RESTful이라고 하며, REST를 사용했다고 모두 RESTful한 것은 아니다.
@RequestBody와 @ResponseBody
클라이언트에서 서버로 통신하는 메시지를 요청(request) 메시지라고 하며, 서버에서 클라이언트로 통신하는 메시지를 응답(response) 메시지라고 한다. 비동기 통신을 위해서는 요청 메시지를 보낼 때 본문에 데이터를 담아서 보내야 하고, 이 본문을 body라고 한다.
종류 | 설명 |
@RequestBody | HTTP 요청의 body내용을 통째로 객체로 변환하여 매핑된 메소드 파라미터로 전달한다. xml이나 json 기반의 메시지를 사용하는 요청의 경우 주로 사용된다. |
@ResponseBody | 객체를 HTTP 요청의 body 내용으로 매핑하여 클라이언트로 전송한다. |
@RequestParam과 @PathVariable
종류 | 설명 |
@RequestParam | Query String으로부터 값을 얻음 (key=value) |
@PathVariable | URI Path로부터 값을 얻음 |
@PathVariable은 URI 경로에서 값을 추출하기 때문에 인코딩이 되지 않고, @RequestParam은 값이 인코딩된다.
POSTMAN API
API 개발 및 테스트를 위한 협업 플랫폼 중 하나로, 다양한 HTTP 요청을 보내고 응답을 확인할 수 있는 API 테스트 도구이다.
Postman API Platform | Sign Up for Free
Postman is an API platform for building and using APIs. Postman simplifies each step of the API lifecycle and streamlines collaboration so you can create better APIs—faster.
www.postman.com
참고
[HTTP/네트워크] Postman (velog.io)
[Spring] @RequestParam vs @PathVariable | da-nyee
@PathVariable vs @RequestParam (tistory.com)
[Spring] @RequestBody / @ResponseBody 어노테이션 이란? (tistory.com)
'FRONT > React, Vue' 카테고리의 다른 글
React 06 - react-toastify 사용해 보기 (0) | 2024.12.10 |
---|---|
Vue 01 (0) | 2024.08.14 |
React 04 (0) | 2024.08.12 |
React 03 (0) | 2024.08.08 |
React 02 (0) | 2024.08.07 |